총성없는 전쟁, 미래패권의 최종병기로 불리는 반도체의 미래에 대해 알아봅니다
16세기에 발생했던 세계화의 문제가 19세기와 20세기에도 동일한 구도속에서 발생했으며 최근 발생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도 동일한 역사적 맥락속에서 바라보아야 한다고 손민석 강사는 강조합니다.
형은 총리, 동생은 대통령, 한 집안이 독점한 스리랑카 인도는 뭘 믿고 미국에 맞서나?
인도는 앞으로 중국의 제조업을 대신할 유력한 후보지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인도의 최근 역사적 정신적 흐름을 경제한방에서 강성용 교수로부터 들어봅니다
우리가 알고 있었던 인도의 카스트 제도가 전혀 다른 면이 있다는 사실을 잘 설명합니다.
침몰중인 일본경제꼴이 나지 않으려면 한국은 가계부채를 해결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을 통해 미중 갈등의 현주소를 진단해 봅니다.
“세계 패권 싸움 이래서 일어납니다” 앞으로의 세상은 경제적인 이해충돌만이 아닌 외교와 ,정치철학 등의 다양한 갈등국면이 전개될 것을 잘 풀어 설명합니다.
우크라이나발 뉴스가 유럽과 미국에 압도적으로 전달되면서 러시아발 소식을 잘 모르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중동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일까? 중동의 국경이 직선인 이유 미국이 우크라이나-러시아에 개입하지 못하는 이유 우크라이나 침공에 분노하는 서방, 팔레스타인 침공에는 침묵하는 이유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화해할 수 없는 이유